1형 양극성장애 이해와 치료를 위한 가이드 2편

질병과 건강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공유하고, 우리의 몸과 마음을 지키는 지혜를 나눕니다.

건강한 생활을 위해 모두가 꼭 알아야 할 필수 팁을 제공해 드릴게요. 1형 양극성장애 이해와 치료를 위한 가이드 2편, 시작합니다.

 

 

 

치료 이미지

진단 및 검사

양극성장애의 진단

  • 양극성장애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의 면담에 의해 진단된다.

조증삽화의 DSM-5 진단 기준

  • 비정상적이고 지속적으로 상승된 기분 및 증가된 활동이 있어야 한다.
  • 기분장애와 증가된 활동 기간 중 특정 증상이 지속되어야 한다.
  • 기분장애가 사회적, 직업적 기능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입원이 필요한 경우이거나 정신병적 양상이 동반되어야 한다.
  • 삽화가 물질의 생리적 작용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.

추가적인 검사

  • 여러 가지 검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.
  • 설문도구를 통해 진단을 보완할 수 있다.
  • 한국판 조울병 선별검사지(K-MDQ)가 널리 사용된다.

검사 도구

  • 한국판 조울병 선별검사지(K-MDQ)는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.
  • K-MDQ의 결과가 양성일 경우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다.

그 외 검사 도구

  • Young 조증평가척도(YMRS)는 양극성장애의 증상 심각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.
  • 갑상선 호르몬 검사와 뇌 영상학적 검사도 고려된다.
  • 임상심리검사도 고려될 수 있다.

진단 고려사항

  • 양극성장애의 진행 가능성을 추측하기 위해 임상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.
  • 우울증 발병 시기, 산후 우울증, 우울삽화의 반복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.